https://app.garagefarm.net의 웹 매니저(웹 대시보드)에 로그인 한 후, 대시보드의 왼쪽 지원 패널에서 3ds Max의 렌더비머(renderBeamer) 앱을 다운로드 합니다
먼저 렌더비머(renderBeamer) 앱을 설치한 후 시작합니다. 그런 후, 회원가입 시 등록한 이메일 또는 이메일로 배정받은 사용자 아이디(a0012345)로 로그인하십시오. 프로젝트를 업로드 하거나 렌더링이 된 프레임을 다운로드 받을 때에는 항상 렌더비머 앱이 실행되고 있어야 합니다.
렌더비머를 설치하고 로그인하면 플러그인 패널이 나타납니다. 플러그인 설치 패널은 첫 번째 렌더비머 시작 후 자동으로 열립니다. 추후에 3D 앱 관련하여 추가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언제든지 열 수 있습니다.
여기 플러그인 패널에서는 사용자께서 가라지팜에서 작업하실 수 있는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가입자가 사용하는 3D 앱 용 플러그인을 설치하셨다면 다음 단계로 진행해주세요.
3ds Max에서 씬을 연 뒤, 렌더팜에서 렌더링 할 준비를 시작합니다.
프로젝트가 준비되면, 렌더비머(renderBeamer)메뉴를 찾아 Beam it up 버튼을 클릭하여 플러그인 창을 엽니다. 플러그인 UI에서는 팜 렌더링을 위해 씬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용 가능한 렌더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시작해야 합니다 (Render as is, Camera animation - Bake and render, Still image - render/bake and render). 각 렌더 모드는 다양한 씬 설정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으므로 렌더링 하려는 씬 유형에 적합한 모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Corona 렌더 엔진용 플러그인 렌더 모드:
Render as is (기본값) - 이 모드에서는 씬이 "있는 그대로" 렌더링됩니다. 이미 미리 캐싱된 GI가 있는 씬이나 GI 캐싱이 필요하지 않은 샷에 유용합니다. 또한 씬 테스트 목적으로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드에서는 GI 캐싱 옵션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Render as is에도 추가 설정이 없습니다.
Camera animation - bake and render - 이 모드는 카메라 애니메이션 씬에 사용해야 합니다. 플러그인은 이 모드에서 두 개의 작업을 생성합니다. GI 캐싱을 위한 첫 번째 '베이크' 씬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 작업은 렌더링 씬입니다. 렌더링 씬은 첫 번째 작업에서 미리 캐시된 GI 맵을 사용합니다. 카메라 애니메이션 모드에서 GI 캐싱은 베이킹 단계 범위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기본 베이킹 단계 값은 10이므로 씬이 0에서 시작하여 프레임 100에서 끝나는 경우 캐시된 11개 프레임(첫 번째 및 마지막 프레임 포함)을 받습니다.
Still Image - render / bake and render - 이것은 저희 가라지팜의 맞춤형 분산 렌더링 시스템이며 고해상도 스틸 샷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습니다. 선택한 설정에 따라 이 모드로 씬을 제출하면 GI 캐시, 렌더링 및 병합의 2개 또는 3개의 작업이 생성됩니다. 미리 캐시된 GI가 있는 경우 "Cache GI on farm" 스위치를 끄고 "from file(파일 모드)"를 통해 GI 맵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씬과 함께 업로드되어 렌더링에 사용됩니다. 캐시 스위치를 끄면 플러그인이 2개의 작업(렌더링 및 병합)을 팜 렌더 대기열로 전달하도록 합니다. 캐시 GI 스위치가 켜져 있으면 GI 캐시, 렌더링 및 병합의 3가지 작업을 받게 됩니다. 스틸 이미지 모드는 "스트립"(수평 또는 수직 렌더링 영역)으로 씬을 렌더링합니다. 스트립 렌더링 작업이 완료된 후 스트립은 병합 작업에서 하나의 최종 해상도 프레임으로 연결됩니다. 캐시할 수 없는 GI 설정을 사용하면 때때로 GI 렌더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예를 들어, PathTracking+PathTracking 설정을 사용하면 스트립을 렌더링할 때 각 렌더 노드가 처음부터 GI를 계산하므로 스트립이 연결되는 가시적인 이음새(seams)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모드가 올바르게 선택되면 다음 부분인 렌더링 설정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렌더 제한 - 패스 한도, 시간 제한 또는 노이즈 수준으로 렌더링 품질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전역조명(Global Illumination) 설정 - 프로그레시브 렌더링 제한에 관련해서, GI설정을 씬에서 읽고 미러링합니다. UHD 캐시 또는 4k 캐시를 사용하고 사전 캐싱된 GI맵이 있는 경우, 프로젝트를 렌더팜으로 보내기 전에 플러그인에서 베이크 스위치를 끄고 “파일 모드(from file)”를 사용하여 씬에 연결하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플러그인에 표시된 모든 렌더링 설정은 씬에서 추출되지만 여전히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돌아가서 3ds Max 렌더링 설정 패널을 사용하지 않고 여기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품질 컨트롤 및 GI 설정을 마치면, 카메라 및 렌더링 범위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모든 렌더링 가능한 카메라를 볼 수 있습니다. 여러 대의 카메라 씬이 있는 경우 각 카메라마다 여러 프레임 범위를 한꺼번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씬의 각 카메라는 GI 캐싱을 포함하여 별도의 렌더링 작업으로 렌더링됩니다. 씬을 테스트하려면 카메라 프레임 범위에 렌더링 단계 값을 넣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씬 타임라인이 1에서 100프레임이면, 시간의 끝 부분에 s10을 넣어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0~100s10) 테스트가 렌더링되면 씬을 다시 업로드할 필요 없이 웹 대시보드에서 전체 범위를 렌더링하도록 작업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틸 이미지로 렌더링할 때 - 베이크 및 렌더링 모드에서는 단일 프레임 값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하단에서 추가적인 팜 렌더링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Overwrite ext 스위치를 사용하면 이미 설정된 출력 형식을 새 형식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형식은 씬에서 읽지 만 여전히 변경을 원하는 경우 Overwrite ext 스위치를 선택한 다음 목록에서 원하는 형식을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출력 저장 옵션에 사용되는 추가 출력 스위치입니다. :
렌더링 요소를 별도로 저장 - EXR/CXR/FXR과 같은 다중 레이어 출력 파일에서만 작동합니다. 이 스위치는 Corona가 모든 렌더링 요소를 하나의 다중 레이어 출력 파일 대신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도록 합니다. 이 스위치는 3ds Max 및 Corona 다중 레이어 저장 문제를 해결합니다.
별도의 디렉토리의 렌더링 요소(elements) - 렌더 노드가 각 렌더 레이어를 별도의 디렉토리에 저장하도록 합니다.
마지막 옵션은 새 프로젝트 이름입니다. 이 옵션은 동일한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새 씬(새 어셋 포함)에서 작업할 때만 사용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스위치를 OFF 상태로 두십시오. 이 스위치가 비활성화되면 플러그인은 프로젝트에 링크된 이전에 업로드된 어셋을 다시 업로드하지 않게 됩니다.
모든 것이 설정되면 "팜으로 보내기(Send to the farm)" 버튼을 누르십시오.
플러그인에는 렌더링 워크플로와 경험을 조정할 수 있는 추가 설정이 있습니다.
3ds Max 플러그인에 대한 기본 설정을 확인하고 설정하려면 오른쪽 상단의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정 창에 다음과 같은 옵션이 있습니다:
매번 메시지 확인 없이 씬을 자동으로 다시 로드하려면 설정에서 이 옵션을 끄십시오.
이 프롬프트를 비활성화하려면 여기 확인란의 선택을 취소하면 됩니다.
플러그인이 씬 내보내기를 완료하면, 프로젝트가 렌더비머로 리디렉션되어 업로드됩니다. 렌더비머는 플러그인과 함께 작동하는 독립형 업로더/다운로더용 응용프로그램입니다. 간단히 말해, 파일 전송을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씬이 완전히 업로드되면 앱에서 웹 매니저에서 씬에 대한 직접 링크가 있는 창을 표시합니다. 계속하려면 여기 '작업 제출(submit job)' 버튼을 클릭하십시오. 잘못하여 창을 닫았거나, 작동하지 않는 경우, 웹 대시보드에서 프로젝트를 찾고, 씬 파일을 클릭해서 씬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다음 단계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링크를 클립보드에 복사하여 웹 브라우저에 수동으로 붙여넣을 수도 있습니다.
이제 프로젝트가 업로드 되었으므로 최종 단계로 작업을 렌더팜에 제출해야 합니다. 웹 매니저는 모든 프로젝트 및 렌더링 작업을 확인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전에 렌더비머에 의해 생성된 링크를 따라가면 여러 필드와 설정이 있는 작업 제출 창이 표시됩니다. 링크를 따르지 않았거나 작동하지 않는 경우 프로젝트 패널에서 수동으로 프로젝트를 찾고 프로젝트 폴더 내에서 씬 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폴더 구조에서 "data"라는 폴더를 찾습니다. 즉, Project_name/data/SceneName.max)를 클릭하고 작업 창을 엽니다.
사용 소프트웨어, 씬 설정 및 플러그인 모드에 따라 작업 제출 창이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3ds Max with Corona에는 웹 매니저에서 직접 변경할 수 있는 많은 옵션이 있습니다.
제출 버튼을 사용하기 전에 해상도, 출력 경로(출력 파일 이름 포함), 제어 품질 설정(통과 제한 및 노이즈 제한 상자)을 편집하고 카메라를 켜고 끌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카메라의 프레임 범위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카메라를 "s10"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것은 "10번째 마다" 프레임을 테스트로 렌더링합니다.
씬에 씬 상태가 포함되어 있으면 플러그인이 자동으로 씬 상태를 감지하고 작업 업로드와 함께 모든 상태 설정을 전달합니다. 모드를 "상태"(카메라 대신)로 전환하여 씬 상태를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작업을 제출할 때 세 가지 우선 순위(High, Medium, Low)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격 및 FAQ 페이지에서 우선 순위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있습니다). 또한 사용할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각 우선 순위의 대기열 길이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렌더 설정을 최종 확인하고 선호하는 우선 순위를 선택한 후 제출을 눌러 렌더 작업 대기열에 작업을 추가합니다. 신규 가입자인 경우 서비스 테스트를 위한 $25 상당의 크레딧이 지급됩니다. 크레딧은 몇 가지 테스트 작업을 실행하고 서비스를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작업이 시작되면 현재 처리된 프레임의 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려면 기본 프로젝트 목록에서 렌더 작업을 선택한 다음 오른쪽 상단에 있는 화살표를 클릭하여 진행률 패널을 엽니다.
진행 패널(화면 오른쪽 패널)은 작업 중 하나를 선택된 경우에만 내용을 표시합니다. 패널은 3개의 섹션으로 나뉩니다.
활성 프레임 - 현재 렌더링 중인 프레임을 보여줍니다. 프레임이 완료되면 두 번째 섹션 완료 프레임으로 이동합니다.
완료 프레임. 목록에서 프레임을 선택하면 프로세스 결과라는 하단 섹션에서 렌더 출력 프로세스 로그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렌더비머에 자동 다운로드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다면 각 프레임이 렌더되어 나오는 즉시 사용자의 드라이브로 자동 다운로드 됩니다. 다운로드 위치를 모를 경우 렌더비머의 설정 (톱니바퀴모양)에서 해당 폴더를 다시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선택 해제하고 각 작업을 클릭해서, 수동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습니다.
다운로드할 항목과 시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려면 프레임을 수동으로 다운로드하세요. 그렇게 하려면 렌더비머 설정에서 자동 다운로드 스위치를 끄고 "다운로드" 탭으로 이동하세요. 그런 다음 확인란을 사용하여 원하는 렌더 출력을 선택하고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세요.
이러한 종류의 워크플로는 선택한 작업 또는 작업에 대해 렌더링된 프레임을 모두 다운로드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렌더비머는 개별 프레임마다 다운로드할 수 있는 옵션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려면 RMB 아래의 목록 파일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선택한 작업의 파일이 나열되면 목록을 롤다운하고 확인란을 사용하여 다운로드할 파일을 선택하세요. 다음으로, 동일한 다운로드 버튼을 사용하세요.
프레임이 다운로드되면 RMB 아래의 오픈 디렉토리 옵션을 사용하여 프레임이 저장된 폴더를 열 수 있습니다.
무료 크레딧을 모두 사용한 경우 또는 마이너스 잔액으로 인해 일시 중지 된 경우, 현재 작업 중인 렌더링을 계속하려면 비용을 결제해야 합니다. 잔액이 $ 0 이하가 되면 프레임을 더 이상 다운로드 할 수 없습니다. 웹 매니저의 청구 패널(Billing panel)에서 지불할 수 있습니다. 직불카드, 신용카드, 페이팔 및 닷페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세금계산서 발행을 원하는 경우, 무통장 입금(KEB하나은행 365-910018-73604) 후 고객센터에 크레딧 충전 요청을 해 주십시오.
250달러 이상의 지불에서는 금액 별로 할인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구매 가격에 따른 할인률을 체크해보십시오.
언제든지 가라지팜의 실시간 고객센터(기술팀)와 상담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는 프로젝트의 시작을 돕는 사람들입니다. 어떠한 것도 주저 말고 문의해 주십시오.
웹 대시보드의 라이브채팅, 가라지팜 앱 계정에 로그인해서 메시지를 보내거나, the guest chat 을 통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질문은 FAQ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